로그인 회원가입
발행인의 글
2019.09.27 15:32

[제14호] 기후의 미래

조회 수 3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후의 미래




홍혜란 ㅣ 에너지시민연대 사무총장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가 시작됐으며 갈수록 그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 이대로라면 기후파국은 가까운 미래다.

이것은 기후과학이 지난 수십 년간의 연구 끝에 확인해온 사실이다.

  

기후파국을 불러올 무분별한 탄소배출을 제어하려면 신기후체제를 작동시킬 이행지침을 적어도 2020년 연말 열릴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때까지는 마련해야 한다. 이제 2019COP25, 2020COP26 두 번의 기회밖에 남지 않았다. 2020~2021년 사이 탄소정점을 이루고 2030년에 탄소배출을 절반으로 그리고 2050년에 탄소중립을 이뤄야 1.5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신기후체제의 실행법이 될 이행지침 마련이 필요하다.


기후의 미래, 인류와 지구생태계의 미래를 위한 기후행동에 나서라고 세계 기후정치를 압박하는 세계시민들의 행동이 시작됐다. 세계시민들의 기후행동을 상징하는 스웨덴의 16세 소녀 그레타 툰베리는 923일 뉴욕에서 진행된 유엔 기후행동 정상회의에 참여한 세계 정상들을 향해 청소년들과 그들의 미래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세계 정상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 있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은 그들의 관심이 거짓말임을 뜻한다고 일갈했다. 그리고 변화는 시작됐다!”고 선언했다.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세계시민들이 직접행동에 나선 것을 지적한 것이다. 전세계 5000여 곳에서 지난 920부터 일주일간 기후 스트라이크(기후행동)’가 벌어졌다. 한국에서도 921기후위기 비상행동캠페인(서울 포함 10개 지역)이 열려 기후변화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해결에 나서라!’는 시민의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이번 9.21 기후비상행동을 비롯하여, 장기 에너지절약 시민행동을 이끌어온 에너지시민연대의 활동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시민참여 기후행동들은 툰베리가 말한 변화의 근거다. 그들의 목소리를 무시하고는 기후정치와 정책을 펼 수 없는 시대가 됐다. 신기후체제가 시작될 때까지 남은 시간 단 15개월, 그 안에 한국은 물론 전세계가 21세기와 그 이후 지구의 미래를 결정할 기후안전보장책을 마련하고 행동에 돌입해야 한다. 시민들의 기후행동이 국가사회의 정책행동으로 이어지도록 불을 끄고 별을 켜는 사람들의 더욱 집중력 있는 활동이 지금, 필요하다.




입력 : 2019-10-07
작성 : 홍혜란 / hrhong1@gmail.com







?

  1. [제13회] 거짓의 대가는 무엇인가, 미국드라마 체르노빌(Chernobyl)

    거짓의 대가는 무엇인가 체르노빌 (Chernobyl) 편성 ㅣ 미국 HBO / 2019.5 / 5부작 감독 ㅣ 조한 랭크(Johan Renck) 각본 ㅣ 크레이그 마진(Craig Mazin) 주연 ㅣ 자레드 해리스, 스텔란 스카스가드, 에밀리 왓슨, 제시 버클리 외 1986년 4월 26일, 전 세계를...
    CategoryNEWS file
    Read More
  2. [제13회] 세계 최대 재생에너지 컨퍼런스가 서울에서 열린다!

    세계 최대 재생에너지 컨퍼런스가 서울에서 열린다! 2019년 세계재생에너지총회(KIREC Seoul 2019) ▷ 일 정 : 2019. 10. 23(수) ~ 25(금) ▷ 장 소 : 서울, COEX ▷ 주 최 : 산업통상자원부, 서울특별시, REN21(재생에너지 정책네트워크) ▷ 주 관 : 한국에너지...
    CategoryNEWS file
    Read More
  3. [제14호] <국가 에너지효율 혁신전략 성공의 과제는> 정책토론회

    <국가 에너지효율 혁신전략 성공의 과제는> 정책토론회 에너지시민연대는 10월 1일(화)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지난 8월 정부에서 발표한 범정부차원의 에너지소비구조를 변화시켜 나가겠다는 의지를 담은 ‘국가 에너지효율 혁신전략’의 성공적인 달성방안...
    CategoryFOCUS file
    Read More
  4. No Image

    [제14호] 기후의 미래

    기후의 미래 홍혜란 ㅣ 에너지시민연대 사무총장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가 시작됐으며 갈수록 그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 이대로라면 기후파국은 가까운 미래다. 이것은 기후과학이 지난 수십 년간의 연구 끝에 확인해온 사실이다. 기후파국을 불러올 무분별한 ...
    Category발행인의 글
    Read More
  5. [제14호] 미션 파서블. 기후위기를 막아라

    미션 파서블. 기후위기를 막아라 921 기후위기 비상행동 / 2050 저탄소 사회비전 포럼 - 청년분과 세미나 현재 우리는 비정상적인 폭염, 유래 없는 한파, 미세먼지 등 예측할 수 없는 기후변화를 겪고 있다. 유엔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IPCC)가 채택한 ‘1.5℃ ...
    CategoryNEWS file
    Read More
  6. [제14호] 이상훈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장

    이상훈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장 Q1.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정책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의 산업효과, 고용창출 효과는 아직까지 낮은 상황이다. 향후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통한 대규모 일자...
    CategoryINTERVIEW file
    Read More
  7. [제14호] 재생에너지의 미래와 지방정부의 목소리

    재생에너지의 미래와 지방정부의 목소리 2019 서울 세계재생에너지총회(KIREC Seoul 2019) 개최 ▶ 행사개요 기 간 2019. 10. 23(수) ~ 25(금) 장 소 대한민국, 서울, 코엑스(COEX) 주 최 산업통상자원부, 서울특별시, REN21(재생에너지 정책네트워크) 참 석 ...
    CategoryNEWS file
    Read More
  8. No Image

    [제14호] 지방분권과 국민참여가 아쉬운 제3차에너지기본계획

     지방분권과 국민참여가 아쉬운 제3차에너지기본계획 허은녕 ㅣ 서울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과정 교수 (사)한국자원경제학회 회장 지난봄에 정부가 발표한 제3차에너지기본계획은 한마디로 변혁과 혁신보다는 안정...
    CategoryVIEW
    Read More
  9. [제15호] 2019년 세계 재생에너지 현황 보고서(REN21)

    비영리 국제단체 국제재생에너지정책네트워크(이하 REN21)는 '2019 세계 재생에너지 동향 보고서(Renewables 2019 Global Status Report, 2019.5)를 발간했다. REN21의 2019 세계 재생에너지 현황 보고서(GSR)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생산 비중이 점점 늘어나...
    CategoryNEWS file
    Read More
  10. No Image

    [제15호] 기후위기 시대! 재생에너지정책 활성화 되어야

    기후위기 시대! 재생에너지정책 활성화 되어야 김태호 ㅣ 에너지시민연대 공동대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긴급한 ‘지구 구하기’에 이기주의가 없어야 한다. 행정과 시장, 시장과 개인, 행정과 국민 간 발생하는 정책오류와 시각차가 지속가능한 지구를 만드는데 ...
    CategoryVIEW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