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조회 수 4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별을 켜는 손이 평화에너지도 만든다



에너지시민연대 사무처




지난 8월 22일은 제15회 ‘에너지의 날’이다. 2003년 8월 22일 당시까지 역대 최대전력수요가 기록됐다. <에너지시민연대>는 ‘우리 사회의 전력과소비 실태를 바로잡자’는 취지에서 이날을 ‘에너지의 날’로 지정했다. <에너지시민연대>는 이듬해부터 ‘불을 끄고 별을 켜다!’라는 슬로건 아래 ‘에너지의 날’을 기념하는 ‘야간 5분 소등행사’와 ‘피크타임 에어컨 설정온도 낮추기’ 등 국민 참여 수요조절 캠페인을 전국적으로 진행해오고 있다. 2004~2018년까지 15회째 진행된 ‘에너지의 날’ 기념 캠페인을 통해 총 909만 9000kWh에 달하는 절전량이 기록됐고 이를 통해 421만 kg의 탄소감축을 실현했다.



<2004~2018년 에너지의 날 전력절감량 및 탄소배출 절감량>

1001_1.png



에너지시민연대는 올해 제15회 에너지의 날 기념 절전행동을 준비하면서 새로운 캠페인을 시작했다. 에너지의 날 절전행동에 참여한 시민들이 ‘절전행동으로 아낀 에너지 비용만큼을 적립해서 북한에 햇빛발전소를 선물하자’는 캠페인이다. 북한의 전력현황은 한 장의 위성사진이 웅변적으로 보여준다. 불야성을 이룬 한반도 남단과 평양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어둠 속에 잠긴 북한의 전력 현실은 ‘남북 에너지 협력사업이 시급히 본격화돼야 한다.’는 메시지와 같다.


image01.png



2016년 북한의 발전 설비용량은 남한의 14분의 1 수준에 불과(통계청, 2017.2.1.)했다. 발전량으로 보자면 격차는 더욱 커진다. 2016년 북한의 발전량은 24TWh로서 남한의 540TWh에 비해 22배 이상 적다. 발전설비와 송전시설은 매우 노후화돼 원거리 송전이 불가능한 수준이다. 과거 개성공단 내 125개 기업이 썼던 최대전력부하가 3만㎾(에너지수급브리프 Series NO 5-6) 정도였다. 현재 남한이 건설하는 화력발전설비의 규모는 최소 50만㎾ 이상이다. 남한이 이런 규모 발전소를 북한에 건설 지원한다고 해도 그림의 떡이다. 받아 쓸 산업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갑자기 개성공단의 17배 규모의 기업을 만들 수도 없고 더구나 송전망 부실로 각지에 산개한 기업들에 공급도 불가능하다.


2016년 북한의 발전 설비용량은 남한의 14분의 1 수준에 불과(통계청, 2017.2.1.)했다. 발전량으로 보자면 격차는 더욱 커진다. 2016년 북한의 발전량은 24TWh로서 남한의 540TWh에 비해 22배 이상 적다. 발전설비와 송전시설은 매우 노후화돼 원거리 송전이 불가능한 수준이다. 과거 개성공단 내 125개 기업이 썼던 최대전력부하가 3만㎾(에너지수급브리프 Series NO 5-6) 정도였다. 현재 남한이 건설하는 화력발전설비의 규모는 최소 50만㎾ 이상이다. 남한이 이런 규모 발전소를 북한에 건설 지원한다고 해도 그림의 떡이다. 받아 쓸 산업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갑자기 개성공단의 17배 규모의 기업을 만들 수도 없고 더구나 송전망 부실로 각지에 산개한 기업들에 공급도 불가능하다.


에너지시민연대가 지난 2004~2018년 동안 에너지의 날 절전행동으로 아낀 연간 평균 절전량은 65만여kWh 규모다. 이를 2018년 4월 서울특별시 가구당 평균 전력사용량 216.2로 나누고 다시 가구당 평균 전기요금을 곱하면 약 6800만 원이 된다. 이 액수는 현재 260W 미니태양광 설치비용이 60만 원 선임을 생각하면 북한 주민들에게 114개 이상의 태양광 패널을 선물할 수 있는 비용이다. 물론 이것이 가능하려면 자신이 아낀 전력요금을 북한 태양광 지원사업에 희사하는 국민 참여가 선행돼야 한다. 수요조절 시민행동이 북한의 전력상황을 개선하는 평화의 햇빛에너지도 만들 수 있다.



입력 : 2018-09-03
작성 : 에너지시민연대 / enet700@enet.or.kr





?

  1. No Image

    super google fr 2024

    super google fr 2024 http://google.fr/ u
    CategoryVIEW
    Read More
  2. No Image

    [제17호]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발걸음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발걸음 김진수ㅣ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부교수 에너지시민연대 정책위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월 2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이후,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가칭)”...
    CategoryVIEW
    Read More
  3. No Image

    [제15호] 기후위기 시대! 재생에너지정책 활성화 되어야

    기후위기 시대! 재생에너지정책 활성화 되어야 김태호 ㅣ 에너지시민연대 공동대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긴급한 ‘지구 구하기’에 이기주의가 없어야 한다. 행정과 시장, 시장과 개인, 행정과 국민 간 발생하는 정책오류와 시각차가 지속가능한 지구를 만드는데 ...
    CategoryVIEW
    Read More
  4. No Image

    [제14호] 지방분권과 국민참여가 아쉬운 제3차에너지기본계획

     지방분권과 국민참여가 아쉬운 제3차에너지기본계획 허은녕 ㅣ 서울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과정 교수 (사)한국자원경제학회 회장 지난봄에 정부가 발표한 제3차에너지기본계획은 한마디로 변혁과 혁신보다는 안정...
    CategoryVIEW
    Read More
  5. [제13호] 현명한 에너지 절약이 절실한 시점이다

    현명한 에너지 절약이 절실한 시점이다 김진수 ㅣ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부교수 에너지시민연대 정책위원 얼마 전 영국의 더 가디언(The Guardian)은 기사 작성 지침의 용어 중에서 기후 변화(climate change)를 기후 위기(climate emergency, crisis 또...
    CategoryVIEW file
    Read More
  6. [제12호] 에너지전환운동! 지역으로부터 진행되어야

    에너지전환운동! 지역으로부터 진행되어야 김대희 ㅣ 에너지시민연대 공동대표 교토의정서 체제 속에서 주요 선진국과 도시들은 환경적 위해요소가 심한 화석에너지와 원전 중심의 에너지공급 정책에서 벗어나 재생에너지 확대와 강력한 수요관리 정책으로 국...
    CategoryVIEW file
    Read More
  7. [제11호] 한국형 그린인증서제도 도입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한국형 그린인증서제도 도입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배정환ㅣ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문재인 정부는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원자력과 석탄화력발전 비중은 지속적으로 낮추고자 하는 3020 에너지...
    CategoryVIEW file
    Read More
  8. [제10호] 별을 켜는 손이 평화에너지도 만든다

    별을 켜는 손이 평화에너지도 만든다 에너지시민연대 사무처 지난 8월 22일은 제15회 ‘에너지의 날’이다. 2003년 8월 22일 당시까지 역대 최대전력수요가 기록됐다. <에너지시민연대>는 ‘우리 사회의 전력과소비 실태를 바로잡자’는 취지에서 이날을 ‘에너지...
    CategoryVIEW file
    Read More
  9. [제9호] 지구를 구하는 에너지·자원 소비 감축 시민행동

    지구를 구하는 에너지·자원 소비 감축 시민행동 김정인ㅣ 에너지시민연대 정책위원장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국제 에너지 기구(IEA)가 작성한 ‘2015년 주요 에너지 통계’의 세계 주요 국가의 1인당 전력 사용량 비교를 보면 한국은 미국, 캐나다, 스웨덴, ...
    CategoryVIEW file
    Read More
  10. [제8호]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단상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단상 유승훈 ㅣ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교수 에너지기본계획(이하 에기본)은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41조에 근거한 에너지 관련 최상위 국가 행정계획으로 20년간을 계획기간으로 하되 5년에 한 번씩 수립된다. 이...
    CategoryVIEW file
    Read More
  11. [제7호] 제23차 기후변화총회(COP23)와 에너지 분야 시사점

    제23차 기후변화총회(COP23)와 에너지 분야 시사점 이상훈 ㅣ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 에너지시민연대 공동정책위원장 차분하게 진행된 제 23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3) 제23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가 2주간의 일정을 마치고 현지 시각으로 11월 18일 오...
    CategoryVIEW file
    Read More
  12. No Image

    [제6호] 해결책은 에너지전환에 있다

    해결책은 에너지전환에 있다 박재묵 ㅣ 에너지시민연대 공동대표 지금 우리는 에너지 문제와 관련해서 3중의 고통을 겪고 있다. 그 첫 번째 고통은 지구상의 인류가 모두 겪는 것으로서, 기후변화이다. 지구 온난화로 생물종이 사라지기도 하지만, 인간도 홍...
    CategoryVIEW
    Read More
  13. No Image

    [제5호] 새 정부 에너지 정책 전환에 거는 기대

    새 정부 에너지 정책 전환에 거는 기대 이상훈 ㅣ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 장미 대선을 거쳐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였다. 국민들은 적폐청산과 통합을 표방하는 새 정부에 높은 지지를 보내며 새 정부의 성공을 기대하고 있다. 새 정부에서 에너지 정책에 ...
    CategoryVIEW
    Read More
  14. No Image

    [제4호] 석탄 줄고 태양광 늘고 '2017 세계 에너지, 저탄소 변화 가속화'

    석탄 줄고 태양광 늘고 '2017 세계 에너지, 저탄소 변화 가속화' 이상훈 ㅣ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 에너지시민연대 정책위원장 2017년 세계는 점진적으로 화석연료 의존에서 벗어나 저탄소 경제로 이행하는 에너지 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1...
    CategoryVIEW
    Read More
  15. [제3호] 제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2) - 국제사회의 기후행동 변화

    제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2) 국제사회의 기후행동 변화 이상훈 ㅣ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 에너지시민연대 정책위원장 파리총회의 열기가 워낙 강했던 탓인지 마라케시 기후총회(COP22)는 너무 차분하고 조용하게 느껴졌다. 총회 초반에 트...
    CategoryVIEW file
    Read More
  16. [제2호] 신기후체계에서의 바람직한 거버넌스

    신기후체계에서의 바람직한 거버넌스 김창섭 Ⅰ 가천대학교 에너지IT학과 교수 이번 여름은 우리 계절감각의 입장에서 낯선 경험이었다. 이것이 올해에 국한한 이상기온인지 혹은 지구온난화가 시작되는 전조인지는 아무도 알 수가 없다. 다만 기후가 변동될 때...
    CategoryVIEW file
    Read More
  17. [제1호]신기후체제에 따른 시민단체의 과제

    신기후체제에 따른 에너지 시민운동의 과제 이상훈 ㅣ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 출처 : Friends of Earth International 파리 기후총회를 통해 역사적인 파리협정이 채택되었다. 그런데 파리 기후총회는 정부 대표들의 협상만 중요했던 것이 아니다. 협상의 ...
    CategoryVIEW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