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프레온가스’보다 더 무서운 ‘육불화황’
메디컬투데이 2009-12-03 07:49:06 발행  
line
북반구 다른 나라보다 한반도 높게 나타나
[메디컬투데이 박엘리 기자]



일단 배출되면 대기 중에 영구히 남는 ‘육불화황’의 증가량이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관리와 규제가 시급하다.

1일 기상청에 따르면 기후변화감시센터에서 지난해에 관측한 육불화황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육불화황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지난해 12월 평균 농도는 6.97ppt로 미국(중부), 이탈리아, 덴마크 등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한 다른 국가랑 비교해도 0.14~0.22ppt 가량 높다.

평균 증가량 또한 0.05ppt/year로 비교 대상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나 지속적인 관측과 분석이 필요하다고 기상청은 밝혔다.

우리에게 ‘프레온가스’로 잘 알려진 염화불화탄소는 처음 합성됐을 때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기체의 성질 때문에 꿈의 화합물이라고 불리며 에어컨이나 냉장고 등의 냉매로 사용됐었다.

하지만 이산화탄소의 2만배에 이르는 엄청난 적외선 흡수능력으로 오존층을 파괴해 자외선 투과율을 높이고 지구에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전 지구적으로 이용을 줄여나가고 있으며 실제 그 양이 많이 줄어들었다.

이 프레온가스가 규제 대상이 되면서 대체가스로 개발된 가스 중 한 종류가 바로 이 문제의 육불화황인데 존재기간이 길어 프레온가스보다 더 심각한 온실가스다.

육불화황은 이산화탄소와 동일한 용량으로 보면 대기 중에 잔존하는 것은 굉장히 미량이다. 하지만 지구온난화지수(GWP)가 이산화탄소가 1이라면 육불화황은 2만2200배에 달하는 무서운 온실가스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가 한 번 배출되면 5~200년, 프레온가스가 75~120년 존재하는데 반해 이 육불화황은 무려 3200년으로 수백 년이 아닌 수천 년 단위다.

기후변화감시센터 구태영 박사는 이에 대해 “일단 배출되면 수천년 단위로 대기중에 존재하게 돼 계속 쌓인다는 위험성이 있고 지금 배출량을 규제한다고 해도 다른 가스와 다르게 줄어드는게 눈에 띄게 보이지 않을 것이다”고 경고했다.

이어 구 박사는 “육불화황은 100% 인간이 배출하는 인위적인 가스이므로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규제를 하고 감시를 해야하는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기상청 기후변화감시센터에서 관측된 육불화황 농도는 월평균 농도 6.97ppt이지만 이것은 기후변화감시센터가 충남 서해안에 있는 안면도에 있어 한반도 전체적으로 희석된 농도이고 도심지역이나 배출밀집지역으로 가게 되면 수십 ppt이상 증가하게 될 위험성 또한 존재한다.

육불화황은 높은 절연 특성이 있어 반도체 생산공정과 가스 절연변압기 또는 배전반 등의 절연체로 주로 사용됨 LCD 공정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이것은 워낙 안정한 가스라 자연상태에서는 거의 분해가 안 되는 가스이므로 인위적으로 없애는 기술을 개발하는 수밖에 없다.

LG디스플레이는 육불화황 가스의 배출량 감축을 위해 2005년 P1 공장에 중앙집중식 감축설비를 설치했고 이 설비의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지난해에는 LCD 생산공정에 적합한 대용량 감축 기술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아직 가동을 시작하지 않았고 육불화황을 대기중에 몇 %나 저감해 배출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한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은 “육불화황은 교토의정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온실가스로 공정 내에서 줄일 수 있어야 하지만 구체적으로 얘기는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안 소장은 “지금 정부가 감축목표를 내놨지만 국제협상에서 다른 형태로 우리나라에 의무가 부과될 경우 무용지물이 될 수 있어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며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겠다는 의지표명만 했지 어떤 방식으로 할지 의견수렴이나 진행된 것이 없어 문제다”라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박엘리 기자 (ellee@mdtoday.co.kr)
박엘리 기자 기사 더보기
블로그 가기 http://ellee.mdtoday.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 [산업통상자원부] 3월 수출과 조업일수 증가로 전력판매량2.8%증가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30 537
55 [산업통상자원부] 5차 클린에너지장관회의 서울 개최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5.15 536
54 냉난방비 줄이기에 대출지원‘그린 리모델링사업’27일접수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536
53 전기요금 평균 5.4% 인상… 에너지 가격구조 개선 계획 에너지시민연대 2014.01.14 536
52 에관공, RPS제도 활성화를 위해 귀를 열다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3.14 535
51 [산업통상자원부] 미래를 선도할 10대 청정에너지 유망기술 발표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5.15 529
50 호남 유일 국제신재생에너지전시회 12일 개막 에너지시민연대 2014.04.07 522
49 [산업통상자원부] 2월 수출 및 조업일수 증가로 전력판매량 0.5% 증가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30 520
48 [에너지관리공단] 2013 에너지통계핸드북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520
47 의정부 하수처리장에 2.5㎿급 태양광 발전소 건립 에너지시민연대 2014.04.07 518
46 서울시, 노는땅에 지은 햇빛발전소로 110억 수입예상 에너지시민연대 2014.04.25 517
45 강릉시, 신재생 에너지 시책 알찬 수입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513
44 울산지역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전국의 8.6% 차지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509
43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시장 안정화를 위한 전기사업법 개정안 국회 통과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30 506
42 햇빛과 폐수로 수소 연료 생산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504
41 [산업통상자원부] 1월 기온상승으로 전력소비량 전년동월비 1.6& 감소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30 504
40 [산업통상자원부] 여름철 전력수급 사전점검 회의 개최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30 503
39 부산시,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사업' 추진 에너지시민연대 2014.04.07 502
38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5년마다 수립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501
37 충남도 신재생에너지 국비 30억원 확보… 전국 최대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