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2014. 3. 5]

□ 에너지경제연구원(원장 손양훈)은 "2013년 가구에너지상설표본조사"의 겨울철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 "가구에너지상설표본조사"는 우리나라 가구부문의 에너지소비 행태를 조사⋅분석하기 위하여 2011년
      부터
전국 16개 시⋅도 2,520개 가구를 대상으로 연 2회(여름: 8월, 겨울: 12월) 시행됨. 가구부문의 에너지
      가격⋅
절약⋅기기보급 관련 정책수립에 필요한 통계자료 확보가 본 조사의 목적임.

□ 우리나라 가구의 62.4%가 거주하는 주택의 실내온도를 파악하고 있었으며, 서울이 타시도에 비해 인지도
   가
높았고, 소득이 높을수록 인지도가 높게 나타남.
 -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는 66.3%가 실내온도를 파악하고 있는 반면, 광역시는 62.1%, 기타시도는 61.2%로
  서울에 비해 인지도가 다소 낮음.
 - 주택형태별로는 아파트(65.8%) 거주가구가 단독주택(58.1%)이나 연립․다세대(63.0%) 보다 인지도가 
     높았음.

 - 가구의 소득규모별로는 소득이 높을수록 인지도가 높게 나타나, 600만원/월 이상 가구는 70.2%인 반면
  400-599만원 69.6%, 200~399만원 62.6%, 200만원미만 53.6% 수준
 - 주택의 실내온도를 파악하는 방법은 온도계 29.2%,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70.9%로 나타남.

□ "겨울철 평상시에 느끼는 실내온도의 정도"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약 절반가량이 '보통이다'로 응답한 반면
 '따뜻하다' 31.1%, '춥다' 16.1%로 조사됨.
 - 서울은 타시도에 비해 '춥다'고 느끼는 응답이 거의 두배 가까이 높게 나타남.
  ※ '춥다'의 응답률(%): 서울 25.5 광역시 12.5, 기타시도 14.4
 - 광역시는 '따뜻' 하거나 '아주따뜻' 하다고 느끼는 응답이 전체의 35.4%로 서울의 20.8%에 비해 14.6%
      포인트
높음.
  · 주택형태별로는 아파트가 타 주택에 비해 '따뜻하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가구주연령이나 소득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조사당일 가구의 거실 온도를 측정한 결과 '20~22도 미만', '22~24도 미만'이 각각 35.4%, 32.5%를 차지
   하였
으며, 전체가구의 69.1%가 20도 이상 유지
 - 거실의 온도를 20도 미만으로 유지하는 가구는 전체의 31.0%에 불과하였음.
 - 거실 평균온도는 21.2도, 방의 평균온도는 21.7도로 방의 온도가 다소 높았으며, 근소한 차이지만 서울
      보다는
광역시 및 기타시도의 실내온도가 더 높았음.
 - 방 및 거실의 온도는 단독주택보다 공동주택이 더 높았고, 학력과 소득이 높아질수록 더 높은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경향이 나타남.
 - 서울은 타 시도에 비해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로 제시된 18도~20도를 유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음.
  ※ 적정실내온도는 18~20도 이지만 본 결과는 18~20도 미만으로 구분

□ 한편 주택의 열손실을 막기 위한 겨울철 보온재는 전체가구의 23.7%만이 사용하고 있으며 보온재는 
    뾱뾱이,
문풍지, 방풍비닐 등의 순서로 많았음.
 - 서울의 보온재 사용은 41.8%로 광역시(14.3%) 및 기타시도(21.5%)에 비해 1.9~2.8배 높아서 실내온도 및
  보온측면에서 가장 에너지절약을 잘 실천하는 도시로 나타남.
 - 주택형태별로는 단독주택의 보온재 사용비율이 높고, 가구주연령별로는 30대, 40대 가구의 사용비율이
      높으며, 저소득층보다는 고소득층의 사용비율이 높음.

  ※ 고소득층은 에너지사용이 많고, 실내온도도 높게 유지하나 보온재 사용도 높음.
 - 보온재를 사용하는 가구(23.7%)에서 주로 사용하는 보온재는 뾱뾱이 40.6%, 문풍지 26.7%, 방풍비닐
     10.2%
이며 뾱뾱이와 다른 보온재를 함께 사용하는 가구도 전체의 22.6%를 차지
  ※ 실제로 뾱뾱이를 사용하는 가구는 보온재 사용가구의 63.2%에 이름
 - 서울의 보온재 사용가구의 뾱뾱이 비율은 77.5%로 타시도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으며, 광역시 및 기타
      시도는
뾱뾱이 보다는 문풍지의 사용비율이 높은 편임

□ 전체가구의 90% 이상이 겨울철에 보조난방을 사용하고 있으며, 99.8%가 보조난방으로 전기를 사용함.
 - 우리나라 가구는 가구당 약 1.14대의 보조난방기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 전기장판이 1.08대로 대부
      분을
차지하고, 전기온수매트 0.04대, 전기난로 및 전기온풍기는 각각 0.01대로 나타남.
 - 보조난방기기의 사용은 광역시가 1.22대로 가장 많았고, 연립․다세대 주택보다는 단독이나 아파트의 보유
  대수가 많았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보유대수가 높아짐.

첨부: <가구에너지소비실태조사> 결과


문의: 에너지정보통계센터 이성근 연구위원 (031-420-2121)
게시물 등록일: 2014.03.05

출처 주소: http://www.keei.re.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토론회] '4차 산업혁명과 에너지 수요관리 정책토론회' 자료집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7.10.26 2819
95 2011년 겨울 아파트 에너지절약 방송 캠페인 에너지시민연대 2011.12.20 3396
94 2011년 여름 아파트 에너지절약 방송 캠페인 에너지시민연대 2011.07.27 3578
93 [워크숍] 사찰 에너지 절약 및 자립 워크숍 자료집 에너지시민연대 2010.04.30 4324
92 [토론회]'에너지갈등 해결을 위한 국회 토론회' 자료집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8.08.09 5882
91 상업에너지의 이해와 에너지 저감방안 교재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2.11.14 11951
90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 교육자료 해설집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2.11.14 13760
89 가정/상업에너지 대응의 필요성과 방향 교재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2.11.14 16589
88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 - 2강.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2.11.14 19352
87 에너지와 건강 교재 및 리플릿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2.10.26 20976
86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 - 3강. 도시에서 에너지 자립마을 어떻게 만들까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2.11.14 21243
85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가뭄 이대로 계속땐 美 남서부 식수 끊겨”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2815
84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2부-① 알프스 ‘만년설’엔 비가 내리고 있었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2824
83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청정대기법 관철외엔 다른 대안 없어”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2903
82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해안선 복원공사 개발업자만 배불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2904
81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제5부 ②네바다주 미드호수의 교훈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2914
80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환경보호 운동에 금융기관 동참 유도”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2957
79 [기후변화 현장을 가자]마실물 고갈… 농사는 엄두도 못내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2960
78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쉬레스타 “히말라야 관심 너무 적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2968
77 에너지 비용 662억원 절감, 녹색우정사업 시동 걸린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30 23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