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 제4부③줄어드는 중국의 동식물

경향신문 | 입력 2008.04.07 02:44 | 수정 2008.04.07 03:22

중국 최남단 윈난성 시솽반나. 행정 명칭은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다. 다이족은 태국 사람들과 조상의 뿌리가 같은 중국의 소수민족이다. 이곳은 사시사철 영상 30도가 넘는 열대지방이다. 중국에서 열대우림 생태계 보호가 가장 완벽한 곳이기도 하다. 전체 국토 면적의 0.2%가 되지 않는 곳에 중국 전체 야생 동물의 4분의 1, 야생 식물의 5분의 1이 서식하고 있다. 동물의 왕국인 동시에 식물의 왕국이라고 할 수 있다. 시솽반나 자치주의 수도는 징훙. 도심의 동쪽으로 란창강(메콩강)이 흙탕물을 일으키며 유유하게 버마와 라오스 국경으로 흘러간다.

↑ 중국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 종수가 급증하고 있다. 사진은 티베트고원 커커시리 자연보호구역 내 티베트 영양들.

# 늘어나는 고무나무에 생태계 파괴

지난해 12월16일 오전. 열대식물이 많기로 소문난 중국 과학원 시솽반나 열대식물원으로 떠났다. 40분 정도 구불구불한 2차선 포장 도로를 지나자 조그만 마을이 나타나면서 고무나무 숲이 한눈에 들어都? 간란바 농장이다. 이곳은 1948년 화교 6명이 태국에서 고무나무 2만그루를 들여와 심은 것이 시작이었다. 지금은 1740만평에 고무나무가 자라는 초대형 농장으로 탈바꿈했다.

고무 농사는 시솽반나의 경제를 지탱하는 기둥이다. 소수민족인 하니족 청년 피강(20)은 6000평의 땅에 1000여그루의 고무나무를 키우고 있다. 고무즙 1㎏에 17위안(약 2210원)을 받아 매달 1만위안(130만원)을 벌고 있다. 징훙에서 직장생활 할 때보다 훨씬 많은 수입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돈이 되는 고무나무가 늘어날수록 생태계는 파괴된다는 데 있다. 고무나무 숲은 200평마다 매년 지하수 9.1㎥를 빨아들인다. 고무나무 재배가 늘어날수록 지하수는 모자랄 수밖에 없다. 피강은 "어렸을 때 주변 산은 나무가 빽빽이 들어선 숲이었고, 호랑이가 살고 있어 아이들은 무서워 산에 놀러가지도 못했다"고 했다. 그러나 지금은 고무나무 숲이 들어서 있고, 매미가 울거나 새가 지저귀지 않는다. 중국 과학원 연구에 따르면 고무나무 숲이 들어서면 새는 70% 이상이 줄어들고 포유류 동물은 80% 이상 줄어든다.

# 포유류 80%, 새 70% 이상 감소

간란바 고무농장에서 40분 정도 더 가면 중국 최대 식물원인 중국 과학원 시솽반나 열대식물원이다. 란창강 지류인 뤄터쑤오강이 둘러싸고 있는 넓다란 섬(900㏊)에 1만여종의 열대 식물이 자라고 있었다. 식물원에 들어서자 갑자기 시원한 느낌이 들었다. 열대우림이 지구의 허파라는 말이 실감났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 등 기후 변화로 열대우림이 사라지기 시작하면서 식물원에 있는 열대식물조차 수량이 줄어드는 추세라고 식물원 안내를 맡은 다이족 여성 안내원(23)이 전했다.

징훙에서 북쪽으로 1시간 거리에 있는 야생 코끼리 생태원. 중국에 서식하는 코끼리 250여마리가 사는 곳이다. 중국의 코끼리는 한때 북부 허베이성이나 산시성 시안 등에도 살았지만 지금은 모두 사라지고, 시솽반나에만 살고 있다.

중국 서남부 티베트와 서북지방인 칭하이성에 걸쳐 있는 칭짱고원(티베트 고원). 평균 해발 4200m 이상이어서 티베트 영양을 비롯한 각종 희귀 동물들과 동충하초 등 희귀 식물이 자라고 있다. 그러나 칭짱고원도 생태계가 예전만 못하다. 해발 3500m 이상 고원 지대에만 살고 있는 야생 야크는 지구온난화로 먹거리가 줄어드는 데다 남획마저 심해 숫자가 줄고 있다. 2000년 2만마리였던 것이 지금은 1만마리 수준으로 줄었다.

# 동충하초 생산량도 갈수록 급감

지난 2월20일, 칭짱철로 열차가 쿤룬산(해발 4772m)을 지나 커커시리에 들어섰다. 드넓은 초원에서 풀을 뜯고 있던 노란 색깔의 티베트 영양 3~4마리가 기차 소리에 놀라 정신없이 달렸다. 티베트 영양은 해발 4600m 이상, 그것도 사람이 살지 않는 곳에서만 살고 있는데도 멸종 위기다. 영양 한 마리 가죽이 3만달러(3000만원)를 호가해 밀렵꾼들의 좋은 먹이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 환경보호총국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척추동물 2700종 가운데 300여종이 멸종 위기를 맞고 있다. 코끼리와 티베트 영양 외에 호랑이, 판다 등이 대표적인 멸종 위기 동물로 꼽히고 있다.

동충하초는 중국에서 손꼽히는 약재다. 고산지대에서만 나오는 희귀 식물이어서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뛰고 있다. 동충하초 1㎏(고급 기준 40만위안)이 최고급 승용차인 BMW보다 비싸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동충하초 생산량이 급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생산량은 최근 10년 사이 가장 적었다.

티베트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윈난성 샹그리라. 해발 3800m 고원지대다. 한약재 가게를 찾아 동충하초 값을 물었더니 30대 여주인은 "1g에 130위안(약 1만6900원)"이라고 말했다. 기후 변화로 생산량이 크게 줄었지만 웰빙의 영향으로 찾는 사람들은 많아 값이 뛰고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 과학원 시솽반나 열대식물원의 양다룽 연구원은 "1950년대 이전만 해도 중국 전역의 동충하초 생산량은 100t을 넘었지만 60년대에는 50~80t으로 감소했고, 90년대에 이르러서는 5~15t으로 갈수록 줄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동식물이 지구 온난화 영향에 따른 생태계 파괴와 마구잡이 남획으로 씨가 마를 위기를 맞고 있다.

〈 징훙·샹그리라 | 글·사진 홍인표특파원 〉
http://issue.media.daum.net/environment/view.html?issueid=2681&newsid=20080407024405944&fid=20080408022606923&lid=2008032403451744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 온난화 여파, 절기가 기가막혀 에너지시민연대 2010.01.12 51249
155 "전기는 싼 에너지" 마구 써 한 해 9000억원꼴 낭비 에너지시민연대 2010.01.18 38837
154 겨울철 실내 온도 파리 가정 19℃ 서울가정 28℃ 에너지시민연대 2010.01.18 43163
153 건물 지붕을 하얀색으로 칠한다면? 에너지시민연대 2010.02.04 52926
152 호텔도 진화한다 - 제로에너지 호텔 에너지시민연대 2010.02.04 63821
151 애경백화점 에너지 사용 전국 최고 에너지시민연대 2010.02.26 56266
150 마곡사 에너지절감 앞장선다. 에너지시민연대 2010.02.26 70377
149 신재생에너지 개발 열풍,터키·中 ‘그린오션’ 주목 에너지시민연대 2010.02.26 65407
148 굴뚝산업, 녹색으로 거듭난다 -강원지역에너지기후변화센터 에너지시민연대 2010.03.03 56882
147 “주택 에너지효율화 사업 도시계획정책과 상호보완 돼야” 에너지시민연대 2010.03.31 65075
146 [워크숍] 사찰 에너지 절약 및 자립 워크숍 자료집 에너지시민연대 2010.04.30 4324
145 [세미나] 오스트리아_한국_지속가능건축 국제세미나 자료집 에너지시민연대 2011.06.29 70259
144 [토론회] 겨울철 전력소비 급증, 원인과 해결방안 지속가능한 전력정책과 요금제도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1.07.08 91343
143 [토론회] 전기요금 개편 방안 연속토론회(용도별 요금의 형평성)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1.07.14 81443
142 2011년 여름 아파트 에너지절약 방송 캠페인 에너지시민연대 2011.07.27 3577
141 [토론회] 전기요금 개편방안 연속토론회(02_전기요금 현실화와 사회적 수용성)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1.08.08 86711
140 2011년 겨울 아파트 에너지절약 방송 캠페인 에너지시민연대 2011.12.20 3395
139 [20120227_29] 2012 에너지시민연대 공모사업 워크숍 및 에너지자립마을만들기 국제심포지엄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2.03.27 67084
138 2012년 서울형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 활동가 워크숍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2.06.18 78682
137 2012년 상업 에너지 절약 활동가 양성 교육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2.06.18 5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