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2014. 1. 27]

□ 에너지경제연구원(원장 손양훈)은 2014년 총에너지 수요가 전년 대비 2.5% 증가한 286.5백만 TOE로 전망
   하고
전력이 에너지수요 증가를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산업부문의 에너지수요 증가가 두드러지고
   원자력 
발전은 이용률 상승으로 발전량이 크게(12.9%)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 2014년 총에너지 수요는 전년 대비 2.5% 증가한 286.5백만 TOE로 전망
 ㅇ 지난해에 이어 총에너지수요 증가율은 경제성장률(3.7%)을 하회
  * 국내 경제성장률(%) : ('12) 2.0 ⇒ ('13) 2.8 ⇒ ('14) 3.7
  * 2009년∼2012년까지 에너지소비 증가율은 경제성장률을 상회
 ㅇ 총에너지수요 증가는 산업부문의 전력(4.2%)과 도시가스(7.1%)가 주도
  - (석유: 0.9%) 납사(1.6%) 및 수송 연료유(0.9%)가 수요 증가를 주도
   * 석유 중 납사 비중(%): (‘12) 46.5 → ('13) 46.7 → ('14) 47.0
  - (석탄: 0.9%) 연말 신규 석탄발전소(영흥화력5호기)의 준공에 따른 발전용과 철강설비 증설에 따른
        제철용
수요 증가로 소폭 상승
  - (LNG: 2.5%) 원자력 발전의 이용률 증가로 발전용 수요는 정체되나, 연료대체 현상의 지속으로 도시
        가스
수요는 비교적 크게(4.8%) 증가
  - (원자력: 12.9%): 지난해 케이블 문제로 인해 가동을 중단했던 일부 원전이 금년 초에 재가동됨에
        따라
원자력 발전량이 크게 증가
  - (전력: 3.2%): 경기회복에 따른 산업생산 활동의 증가로 산업용 수요가 4.2% 증가하고, 가정·상업·
        공공용
수요는 2.1% 증가
 ㅇ 최종에너지 수요는 경기회복으로 2.2% 증가한 214.4백만 TOE로 전망
  - (산업: 2.7%) 도시가스(7.1%), 전력(4.2%), 납사(1.6%) 등이 산업부문 에너지수요 증가를 주도
  - (수송: 1.3%) 고유가 상황 지속에도 불구하고 승용차의 대형화와 물동량 증가 등에 기인
  - (가정·상업·공공: 1.4%) 도시가스(2.1%), 전력(2.1%), 열에너지(0.7%), 무연탄(1.1%) 등은 증가. 반면,
        석유
는 연료대체 지속으로 3.1% 감소
□ 2014년 에너지수요전망의 주요 특징
 ㅇ 에너지원으로는 전력이 에너지수요 증가를 주도할 전망
  - 전력수요 증가율(3.2%)은 경제성장률(3.7%)보다 다소 낮아질 전망이나, 여전히 산업용 수요는 4.2%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금년에는 발전설비가 약 10% 증설되어 전력수급 상황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예상
 ㅇ 소비부문으로는 산업부문이 에너지수요 증가를 주도
  - 최종에너지 수요증가의 76%가 산업부문에 기인
 ㅇ 에너지원단위는 지난해보다 다소 개선되나, 1인당 에너지소비는 5.73 TOE로 OECD 주요국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
  * 에너지원단위(TOE/백만원): ('12) 0.252→ ('13) 0.246→ ('14) 0.243
  * 1인당소비 국제비교(‘11): (OECD 평균) 4.29, (일본) 3.61, (미국) 7.03
 ㅇ 원자력 발전은 이용률 상승으로 발전량이 크게(12.9%) 상승할 전망
  - 지난해에는 케이블 문제로 인한 일부 원전(신고리 1-2호기, 신월성 1호기)의 가동정지로 원자력
      발전량이
크게 감소
 ㅇ 총에너지의 석유비중은 37.2%로 하락
  * 총에너지의 석유비중(%): ('12) 38.1 → ('13) 37.8 → ('14) 37.2

□ 정책 시사점
 ㅇ (합리적 에너지가격 체계 구축) 전기요금 수준을 지속적으로 현실화하고, 에너지 세제를 개선하여
       전기-
비전기간의 소비왜곡을 시정
  - 금년에도 전력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낮은 전기요금 수준으로 인한 수요증가
        유발
요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음.
 ㅇ (동·하계 전력수급안정대책 지속 추진)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 전력수요관리정책(피크전력 감축 등)을
      지속
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신규원전의 가동지연, 이상기후 발생, 발전설비 불시정지 등이 발생할 경우 전력공급 비상상황이 
     초래될
가능성 상존
 ㅇ (동절기 LNG 수급 상황 점검) 동계 한파 발생 시에는 발전용과 도시가스용 LNG 수요가 동시에 급증
      하게
되므로 동계 LNG 수급 안정이 매우 중요
  - 전력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원전 가동정지에 따른 이용률 하락은 첨두부하용 LNG 수요 급증을 유발






문의: 에너지경제연구원 김태헌 연구위원 (031-420-2264)
게시물 등록일: 2014.01.27
출처 주소: http://www.keei.re.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신재생에너지 자료]바이오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834
95 [신재생에너지 자료]태양열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810
94 태양광·풍력발전에 민간자본·부지유치… 수익 나눈다 에너지시민연대 2014.04.25 807
93 [신재생에너지 자료]지열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801
92 돌에서 짜낸 수소, 미래의 청정 에너지원 기대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795
91 신재생에너지에 '꽃피는 봄'…SK, 연료전지발전 '가속'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794
90 관리비 절감 아파트·오피스텔 ‘눈길’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792
89 [에너지절약 인센티브 정보]탄소포인트제도, 에코마일리지 제도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770
88 제주 월령리 주민 "중국 자본이 풍력사업 방해" 에너지시민연대 2014.04.29 752
87 [신재생에너지 자료]해양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743
86 [토론회] '산업부문 저탄소 전환어떻게 할 것인가?'자료집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6.06.24 737
85 돈 버는 대구 하수처리장 태양광발전시설 에너지시민연대 2014.02.12 735
84 서울 임대아파트 태양광발전 추가설치 에너지시민연대 2014.04.07 713
83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년 가구에너지상설표본조사 결과 발표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02 710
82 [신재생에너지 자료]풍력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702
81 울산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바이오 에너지관' 가동 에너지시민연대 2014.04.02 673
80 [토론회] 정당 초청 에너지 정책 전환 대토론회 '새 정부에 바란다' 자료집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7.04.14 670
79 [토론회]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 대한 평가와 제언'자료집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6.12.20 669
78 [신재생에너지 자료]수력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656
77 [토론회] '에너지신산업정책, 일자리 창출 기회인가 정책토론회' 자료집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8.05.31 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