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빙하 면적 줄면서 기온 급속히 올라”

경향신문 | 입력 2008.06.23 10:15

ㆍ리처드 스타이너 알래스카대 교수

리처드 스타이너 알래스카 대학 교수(사진)는 "알래스카는 기후변화의 '그라운드 제로' "라고 강조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는 데다 각종 피해 보상 소송, 캠페인 등이 어느 곳보다도 활발하기 때문이다. 알래스카 대학에서 해양 동물을 가르치는 그는 30여년간 알래스카 구석구석을 누빈 현장 학자다.

-왜 북극이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나.

"북극의 빙하는 태양열을 반사시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해 왔다. 기온 상승으로 빙하 면적이 줄어들면서 반사율이 낮아져 기온이 급속히 오르고 있다. 기온 상승 정도가 열대 지역의 2~3배다. 열대 지방에 비해 공기층이 얇고 단단해 똑같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더라도 온실효과를 더 크게 느끼게 된다."

-기후변화로 인해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무엇인가.

"기온이 어는 점 이상으로 올라가는 날이 많아지면서 해빙이 줄어들었다. 결빙 시기가 한 달 이상 늦어졌고, 두께도 1960년대의 10피트(3.1m)에서 1990년대 6피트(1.8m)로 얇아졌다. 해빙은 물범의 서식처이자 북극곰의 사냥터다. 시스마레프의 침식 문제도 해빙이 원인이다."

-기후변화로 알래스카에 발생한 현상들은 어떤 것이 있나.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서 숲이 내려앉는 '술 취한 숲'이 늘어나고 있다. 북극곰이 내륙에 출몰하고, 바다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어족이 바뀌고 있다. 빙하의 후퇴나 기온 상승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중에서도 해안 침식이 가장 심각하다."

-석유를 적게 쓰는 에스키모들이 기후 변화의 첫 피해자가 되고 있다.

"알래스카 원주민들은 '기후 부정의(Climate Unjustice)'의 사례다. 이산화탄소 배출은 거의 하지 않으면서 피해는 고스란히 입고 있다. 에스키모들도 태평양 섬지역 주민들처럼 각종 국제회의에 참석해 현장을 증언하고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

< 앵커리지(알래스카) | 최명애기자 >
http://issue.media.daum.net/environment/view.html?issueid=2681&newsid=20080623101513137&fid=20090423103609177&lid=2008062310151213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 [에너지절약 왜 필요할까요?]기후변화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982
175 우리가족 7가지 좋은 습관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553
174 물 절약방법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473
173 교통에너지 절약방법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497
172 난방에너지 절약방법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487
171 전기에너지 절약방법 에너지시민연대 2016.04.19 1960
170 [토론회] '취약계층 에너지복지사업 이대로 괜찮은가?'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5.11.27 1007
169 “기후 변화, 작은 섬나라들엔 생존 문제입니다”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5.10.21 895
168 ‘날마다 차 없는 거리’ 오슬로의 실험 성공할까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5.10.21 848
167 [토론회] 지속가능한 에너지 자립섬 실현을 위한 방향 모색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5.10.14 871
166 2015년 제12회 에너지의 날 포스터 시안(배포용)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5.07.30 1550
165 [산업통상자원부] 미래를 선도할 10대 청정에너지 유망기술 발표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5.15 533
164 [산업통상자원부] 5차 클린에너지장관회의 서울 개최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5.15 540
163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시장 안정화를 위한 전기사업법 개정안 국회 통과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30 510
162 [산업통상자원부] 3월 수출과 조업일수 증가로 전력판매량2.8%증가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30 541
161 [산업통상자원부] 여름철 전력수급 사전점검 회의 개최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30 507
160 [산업통상자원부] 2월 수출 및 조업일수 증가로 전력판매량 0.5% 증가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30 524
159 [산업통상자원부] 1월 기온상승으로 전력소비량 전년동월비 1.6& 감소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14.04.30 508
158 풍력발전기용 증속기 인증시험 기술 개발 에너지시민연대 2014.04.29 608
157 제주 월령리 주민 "중국 자본이 풍력사업 방해" 에너지시민연대 2014.04.29 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