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고분자 태양전지의 단점인 낮은 효율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해 고분자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이바지할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송명훈 교수 연구팀이 미래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기존고분자 태양전지의 문제점을 개선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런 연구성과는 재료 및 응용분야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온라인판에도 소개됐다.

고분자 태양전지는 태양빛을 흡수하는 고분자를 이용해 얻은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지로,
제작비용은 저렴하면서도 형태나 무게 등의 제약이 적어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고분자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광전변환효율이 낮아 상용화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나뭇잎 형태의 나노구조를 갖는 산화아연 전자수송층 위에 극성용매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고분자
태양전지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박막 물질을 코팅해 전자수송층과 광활성층 사이의 높은 에너지 장벽을 낮춤으로써 전자의 수송을 도와
문제를 극복한 것이다. 실험결과 극성용매 처리를 한 고분자 태양전지는 극성용매를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효율성이 30% 이상 향상됐다.

일반적으로 상용화가 가능해지려면 빛을 전기로 바꾸는 광전변환효율이 10%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연구
팀은 이 수치를 8.69%까지 끌어올렸다.

특히 극성용매로 합성물질 대신 에탄올이나 메탄올같이 흔한 재료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더 의미가 있다.

송 교수는 "과거에는 금속산화물과 활성층 사이의 에너지장벽을 줄이는 방법으로 자기조립단분자막, 이
온성 액체, 고분자 전해질과 같은 물질을 사용했는데 이 경우 원하는 물질을 합성해야 해 번거롭고, 효율도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면서 "우리가 개발한 기술은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면서도 평소에 많이 사용하는
극성용매를 이용해 높은 소자 효율을 실현해냈다"고 말했다.

< 고효율 고분자 태양전지 기술 개발을 주도한 울산과기대 송명훈 교수>

lucid@yna.co.kr


                                                                                                                      출처:  연합뉴스, 2013.10.2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제7부 ① 캘리포니아의 도전…불과 물에 맞선 ‘터미네이터’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613
38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꾸준한 나무심기 정말 중요”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636
37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① ‘2020년 시한부’ 킬리만자로의 만년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641
36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운하 건설뒤 폭풍해일 ‘人災’ 급증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693
35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제4부-①네이멍구·닝샤·간쑤성의 사막화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715
34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지구의 친구들’ 反GMO식품 이슈화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771
33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빙하 면적 줄면서 기온 급속히 올라”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886
32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제3부 ② 이상한 날씨, 네팔은 두렵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4106
31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제7부-③친환경 난방·교통 정착… ‘석유 독립’ 눈 앞에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4119
30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제8부-① ‘알래스카의 투발루’ 시스마레프 섬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8666
29 공무원 일과중 개인 전열기 사용 못한다 에너지시민연대 2010.01.12 33713
28 [기획연재] 신재생 발전 ‘표준’이 이끈다…4 에너지시민연대 2009.07.17 33866
27 전국 우체국 에너지 사용량 10% 절감한다 에너지시민연대 2010.01.12 34033
26 [기획연재] 신재생 발전 ‘표준’이 이끈다…6 에너지시민연대 2009.07.17 35332
25 [알기 쉬운 그린용어] 탄소중립 프로그램 에너지시민연대 2009.11.13 38641
24 "전기는 싼 에너지" 마구 써 한 해 9000억원꼴 낭비 에너지시민연대 2010.01.18 38838
23 한파에 최대 전력사용량 신기록 경신 에너지시민연대 2010.01.12 38879
22 [기획연재]신재생 발전 ‘표준’이 이끈다…3 에너지시민연대 2009.07.17 41499
21 겨울철 실내 온도 파리 가정 19℃ 서울가정 28℃ 에너지시민연대 2010.01.18 43164
20 내복 입으면 온도 2.4℃ 상승효과 에너지시민연대 2009.12.15 45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