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① ‘2020년 시한부’ 킬리만자로의 만년설

경향신문 | 입력 2008.01.14 03:09 | 수정 2008.01.14 12:26


열대 권역에서 유일하게 만년설을 간직하고 있다 해서 '지구의 신령'으로 불리는 킬리만자로(5895m). 하지만 킬리만자로에는 만년설이 거의 사라졌다. 해발 4,703m의 키보(Kibo) 산장에서 바라다본 킬리만자로의 정상은 형편없이 쪼그라든 만년설의 흔적만이 군데군데 남아 있을 뿐이다. 2020년 지구에서 마지막 남아 있는 열대의 만년설에 주어진 시한부 생명은 수사(修辭)가 아니었다.

↑ 지난해 11월 27일 해발 4703m의 키보(KIbo) 산장 부근에서 바라다본 킬리만자로 정상. 킬리만자로의 상징처럼 여겨진 만년설이 꼭대기 일부분에만 있고, 나머지 지역에는 수목 하나 없는 벌거벗은 땅이 드러나 있다. (모시(탄자니아)/이재국기자)

지난해 11월25일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모시(Moshi)에 도착했다. 킬리만자로로 가는 관문 도시다. '아프리카의 신비'를 보러오는 서구의 관광객들로 자못 붐빈다. 다음날 킬리만자로의 정상으로 향하는 6개의 루트 중에서 마랑구(Marangu) 게이트로 향하는 길을 택했다.

길의 초입에 들어서면서 만난 이들이 원주민 차가(Chagga)족이다. 킬리만자로의 자락에서 커피 농사로 삶을 지탱하는 종족이다. 커피는 탄자니아 수출 품목 3위에 달할 만큼 탄자니아에는 생명줄 같은 산물이다. 킬리만자로 커피가 세계 커피 마니아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킬리만자로 기슭에 사는 사람들의 주 수입원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천혜의 기후와 토양 덕분이다. 고산지 특유의 '시원한' 기온과 '충분한' 물이 그것이다.

하지만 마랑구 게이트로 가는 길목에서는 킬리만자로 커피의 영화를 찾아보기 어렵다. 커피 밭은 이미 황폐화돼 있다. 곳곳에 말라 죽은 커피 나무가 앙상하게 드러나 있다. 중산 간 킬레마 마을에서 만난 차가족의 커피 재배농 마티야사 모샤(67)는 새삼스럽다는 듯이 말한다. "몇 년째 계속되는 가뭄에다가 이상고온 탓에 전에 볼 수 없었던 '붕구와'라는 해충이 급증, 커피나무의 영양분을 전부 갉아 먹어 버렸다"고 했다. "피해가 워낙 심각해 제대로 손을 쓸 수 없는 지경"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커피 농사를 포기하고 생계를 위해 모시 등 인근 도시로 떠나는 원주민들이 줄을 이어, 이제는 마을의 절반이 빈집이라고 한다.

커피뿐만 아니다. 탄자니아의 주식인 '우갈리'를 만드는 원료인 옥수수 생산도 급속히 감소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강수량이 전례 없이 줄어들고 고온이 계속된 탓에 옥수수의 발육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사아몬 키마로(59)는 "햇볕이 많고 비가 거의 내리지 않으면서 옥수수가 종전 크기의 3분의 1도 채 안돼 발육을 멈춰버린다"고 손가락으로 비교하는 시늉을 해보인다.

옥수수 생산의 급속한 감소는 탄자니아에는 기근의 위기로 직결된다. 실제 2006년 탄자니아 전체 인구 3000만명의 12%(370만명)가 아사 위기에 봉착했다.

더욱 심각한 것은 물의 부족이다. 몇 년째 비다운 비가 내리지 않으면서 킬리만자로의 계곡물도 거의 말랐다. 킬리만자로 주변 주민들에게 식수 부족은 일상사다. 킬리만자로 등반 길에서 자신의 몸무게보다 훨씬 무거워 보이는 물통을 양손에 들고 산길을 오르내리는 아이들의 모습이 수시로 목격됐다. 1ℓ 남짓 물통을 나르던 줌베 하미스(7)는 "이것도 2시간 걸려 길은 것"이라고 웃었다.

극히 경미한 온도 변화, 강수 변화가 농업은 물론 식수 확보에도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잠언(箴言)' 같은 풍경이다.

킬리만자로 등정 길에서 생생히 목도하는 것은 그 외면할 수 없는 풍경들이다. 해발 1980m의 마랑구 게이트 옆에는 유칼립투스 나무들이 무더기로 베어져 있다. 국립공원관리소 로저스 루와고(43)는 "예전에 워낙 강수량이 충분해 물을 많이 흡수해 빨리 자라는 유칼립투스 나무를 호주에서 들여와 대대적으로 심었는데 이제 비가 오지 않아 베어 내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해서 보니 주변의 모습도 쇠잔하다. 비옥한 토양과 풍부한 강수량으로 한때 영화를 자랑한 킬리만자로 중산 간의 숲이 허약하기 짝이 없다. 이를 부추기는 게 남벌이다. 커피와 옥수수 등의 농사가 점차 힘들어지면서 주민들이 숯을 만들어 팔기 위해 마구잡이로 벌목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탄자니아 정부는 지난해 초 킬리만자로에서 벌목을 전면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지만, 줄어들지 않고 있다. 국립공원관리소 측은 최근 매년 9만3000ha의 숲이 민둥산으로 변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가 이처럼 얽히고 설키면서 킬리만자로의 식생(植生)과 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악순화의 고리를 만들고 있다.

킬리만자로 등정 4일째. 30도에 육박하는 아프리카 열대 기후가 어느 새 영하 10도를 밑돌 즈음 키보 산장에 도착했다. 정상이 육안으로 목전이다. 만년설은 정상 꼭대기에만 간신히 머물러 있다. 만년설이 흘러내리던 암벽은 앙상한 바위 몸을 처연히 드러내고 있다. 1912년부터 2000년 사이에 정상을 뒤덮었던 빙하의 80% 이상이 이미 녹아 없어졌다.

'킬리만자로 치타'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현지 안내인 안토니(26)는 "어릴 때부터 어른들로부터 '킬리만자로는 죽지 않고 살아 있으며, 정상의 만년설이 다 녹아 없어지면 화산이 폭발해 모두 죽을 것'이라는 말을 들어왔다"며 "믿고 싶지 않지만 그런 재앙이 현실이 되는 것 같아 무섭다"고 말했다. 킬리만자로 만년설의 사라짐에 대한 현대 과학자들의 경고는 그에게 있어서는 종족의 삶과 직결된 예언인 셈이다.

얼마 전 킬리만자로 정상에서 살점이 말끔하게 발린 코끼리 뼈가 무더기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오래 전에는 킬리만자로에 코끼리가 살았고, 그 코끼리를 공격하는 습격자가 살았다는 증좌이다. 이제는 사라진 '킬리만자로의 코끼리'처럼 '킬리만자로의 만년설' 역시 불과 10년 안팎의 수명을 남겨두고 있다. 그 수명은,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의 재앙에 직면한 인류에게 주어진 마지막 시간일 터이다. 과학자들이 소멸을 경고한 킬리만자로의 만년설은, 분명 이론이 아니라 고통스럽지만 피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출처: 경향신문,  08.01.14, 이재국 기자
http://issue.media.daum.net/environment/view.html?issueid=2681&newsid=20080114030910606&cp=khan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부국이 만든 기후재앙, 왜 가난한 우리가…”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121
15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제3부 ③늘어가는 ‘기후난민’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492
14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먼 버르삿 순와르 “利器 들어와 편하지만 자연 망가져”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215
13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제3부 ② 이상한 날씨, 네팔은 두렵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4102
12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쉬레스타 “히말라야 관심 너무 적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2968
11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제3부 ① 녹아 내리는 히말라야 빙하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366
10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2부-②더운 프랑스, 재앙을 부른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453
9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더 큰 환경오염 우려 원전정책 재고해야”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055
8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2부-① 알프스 ‘만년설’엔 비가 내리고 있었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2821
7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유럽인 하천범람 위협 시달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043
6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아프리카는 지금 ‘물 전쟁’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037
5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② 빅토리아호의 증언…아프리카는 목마르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385
4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탄자니아 오시마 “고온에 죽어가는 개구리 신세”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590
3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빙하가 호수로…조여오는 ‘대재앙’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120
»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① ‘2020년 시한부’ 킬리만자로의 만년설 에너지시민연대 2009.06.15 23636
1 학습지도안 작성법 file 에너지시민연대 2009.05.28 37961